건너뛰기 메뉴

City of Masters 안성맞춤도시 안성 문화관광

안성시 평생교육 통합 플랫폼 안성배움e 코로나19 나만의 메뉴 안성행사알리미

코로나19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채널

페이스북 블로그 인스타그램 카카오톡


CITY OF MASTERS

안성3·1운동
기념관

이달의 안성 독립운동가

  • 안성3·1운동기념관
  • 학술정보자료관
  • 이달의 안성 독립운동가
  • 홈버튼 이미지
  • 본문인쇄
  • 트위터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
  • 카카오톡 공유
  • 밴드 공유

이달의 안성 독립운동가 게시판 내용 보기

2019년 5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김규식·김순애 선생

  • 작성자 : [문화관광과] 이종석(031-678-2475)
  • 등록일 : 2019-05-08
  • 조회 : 1593
2019년 5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김규식·김순애 선생
민족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 부부 김규식, 김순애

[金奎植, 1881. 1. 29. ~ 1950. 12. 10. 부산]
[金淳愛, 1889. 5. 12. ~ 1976. 5. 17. 황해도 장연]

김규식은 1881년 1월 29일 경남 동래에서 양반 관리의 자제로 태어났다. 부친의 유배로 인해 선교사 언더우드가 세운 고아학당에서 신학문을 교육받았고, 독립협회 활동과 독립신문 제작에 참여하여 국제정세에 대한 안목을 키웠다. 1897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우수한 성적으로 로녹대학Roanoke College을 졸업한 후, 귀국하여 계몽운동을 벌였지만 국내에서의 독립운동은 점차 어려워졌다. 이에 김규식은 적극적인 항일 투쟁을 위해 1913년 중국 상하이로 망명하였다. 그는 동제사同濟社와 박달학원 중심으로 민족교육을 펼치며 민족의식과 독립의지를 키워나갔고, 대동단결선언을 발표하며 독립운동 세력 통합을 통한 임시정부 수립을 제의하였다.

외국어에 능통했던 김규식은 1919년 초 신한청년당 대표로 파리강화회의에 파견되었고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이후에는 외무총장 자격으로 일제 침략과 식민지 통치의 실상, 한국 독립의 당위성을 세계에 알렸다. 이후 열강에의 선전활동과 약소 피압박 국가 간의 연합 등 다양한 독립 외교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임시정부의 단결과 독립운동단체의 통합을 이끌어내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며 독립운동전선에 있지 않을 때에는 교육활동에 매진하였다.

1945년 8월 15일 광복 후, 임시정부의 부주석이었던 김규식은 김구 등과 함께 귀국하여 남북 단독정부 수립을 막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1950년 6·25 전쟁 중에 납북되어 그해 12월 10일, 평북 만포진 부근에서 서거하였다.

김순애는 1889년 5월 12일 황해도 장연군 대구면 송천리에서 출생하였다. 정신여학교에서 신학문을 공부한 김순애는 민족계몽을 위해 교육활동을 펼치다 일제의 감시가 심해지자 오빠인 김필순과 함께 중국으로 망명하였다. 1919년 1월 김필순과 막역했던 독립운동가 김규식과 결혼한 후 신한청년당新韓靑年黨에 가입하였고 한국의 독립을 주장하기 위해 파견된 민족대표의 활동자금 모집과 독립운동 봉기 촉구에 주력하였다.

김순애는 여성의 독립운동 참여와 지원을 목적으로 상하이에서 대한애국부인회를 조직하고 국내외 애국부인회와 긴밀하게 연계하며 활동하였다. 대한애국부인회는 독립운동가들의 뒷바라지와 함께 임시정부로의 독립운동 자금 전달, 태극기 제작과 보급 활동 등을 통하여 우리 민족의 독립의지를 전파하였다. 또한 독립전쟁을 대비해 대한적십자회를 재건하여 많은 간호원을 양성하고 한국독립운동 선전활동을 펴는 데에도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지속적인 임시정부 재정 지원 활동과 함께 김순애는 한국독립당 산하 여성독립운동단체인 한인여자청년동맹을 결성하고, 한국애국부인회 재건대회를 통하여 여성 민족통일전선을 형성하는 등 항일여성독립운동을 이끌었다. 나아가 재중자유한인대회 참여 등을 통해 민족의 완전한 독립과 임시정부 중심의 독립운동을 주장하였다. 1945년 조국 광복을 맞이한 이후, 김규식과 함께 귀국하여 여성교육에 공헌했던 김순애는 1976년 5월 17일 영면하였다.

정부는 민족의 독립과 통합을 위해 헌신한 부부의 공적을 기려 1977년 김순애에게 독립장을, 1989년 김규식에게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출처:독립기념관 홈페이지(http://www.i815.or.kr)    
첨부파일
공공누리 제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 및 변경 금지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 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