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메뉴

City of Masters 안성맞춤도시 안성 문화관광

안성시 평생교육 통합 플랫폼 안성배움e 코로나19 나만의 메뉴 안성행사알리미

코로나19

안성관광지도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채널

페이스북 블로그 인스타그램 카카오톡


CITY OF MASTERS

역사/문화

시지정문화유산

  • 역사/문화
  • 문화유산
  • 시지정문화유산
  • 만나이 안내 새창열림
  • 본문인쇄
  • 트위터 공유 새창열림
  • 페이스북 공유 새창열림
  • 카카오스토리 공유 새창열림
  • 카카오톡 공유 새창열림
  • 밴드 공유 새창열림
  • 최규서어서각

  • 분류 / 사당
  • 지정번호 / 안성시향토유적 제6호
  • 지정일자 / 1986-05-22
  • 시대 / 조선시대중기
  • 소재지 / 원곡면 만리길 35
  • 소유자
  • -
  • 관리자
  • 해주최씨 종중
  • 규모
  • 정면 494cm, 측면 370cm
  • 재질
  • 목조
  • 상세정보
  • 조선중기의 명신(名臣)으로 영의정을 지낸 충정공(忠正公) 최규서(崔奎瑞 1650-1735)선생에 내린 영조의 어서(御書)와 영정(影幀)을 모신 정각(旌閣)이다. 영조는 충정공의 공로를 높이 찬양하여 친필로 쓴 「일사부정(一絲扶鼎)」이란 어서(御書)를 하사(下賜)하고 충신정문(忠臣旌門)을 세우게 했다. 그러나 정각이 선 자리에 1915년 미국대사관이 들어서게 되어 부득이 어서(御書)를 공의 묘소가 있는 지금의 이곳으로 옮겨 모신 것이다.



    현재 어서각(御書閣)에는 영조의 어서, 충정공(忠貞公)의 위패(位牌), 영정(影幀), 비망기(備忘記) 등을 봉안(奉安)해 놓았으며, 매년 음력 10월 6일 후손들이 모여 제향을 올린다. 팔작(八作)지붕의 한식 골기와를 얹은 건물 앞 좌우에는「어서각(御書閣)」「백연사자(白蓮祠字)」란 현판(縣額)이 걸려있다. 건물은 정면이 4.94m, 측면은 3.70m의 규모이며, 어서는 140㎝×55㎝ 크기에 “일사부정 一絲扶鼎”이라 쓰여 있다.



    최규서의 자는 문숙(文叔), 호는 간재(艮齋), 소릉(少陵), 본관은 해주(海州)이며, 현감 석유(碩儒)의 아들이다. 현종(顯宗) 10년(1669) 진사시에 합격하고, 숙종(肅宗) 6년(1680)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출사한 뒤, 대사성 • 대제학 • 우의정 •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고 경종(景宗) 3년(1723) 영의정에 올라 기로소(耆老所)에 들었다. 소론(少論)의 영수(領袖)로서 활약했으며, 특히 영조 4년(1728) 이인좌(李麟佐)의 난(亂) 때는 그 음모와 주동인물을 고변(告變), 난을 토평(討平)케 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시호는 충정(忠貞)이며, 저서로는 「민재집(民齋集)」이 있다.
페이지 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