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메뉴

City of Masters 안성맞춤도시 안성 문화관광

안성시 평생교육 통합 플랫폼 안성배움e 코로나19 나만의 메뉴 안성행사알리미

코로나19

안성관광지도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채널

페이스북 블로그 인스타그램 카카오톡


CITY OF MASTERS

안성3·1운동
기념관

이달의 안성 독립운동가

  • 안성3·1운동기념관
  • 학술정보자료관
  • 이달의 안성 독립운동가
  • 홈버튼 이미지
  • 본문인쇄
  • 트위터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
  • 카카오톡 공유
  • 밴드 공유

이달의 안성 독립운동가 게시판 내용 보기

2023년 3월 이달의 안성 독립운동가 이인군 선생

  • 작성자 : [문화예술사업소]
  • 등록일 : 2023-03-02
  • 조회 : 107
2023년 3월 이달의 안성 독립운동가 포스터
◆ 2023년 3월 이달의 안성 독립운동가 이인군 선생
李仁君 / 1980.3.10. ~ 미상
애국장(2009) / 원곡면

1919년 4월 1일과 2일 원곡ㆍ양성면 연합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당시 40세의 부터 죽산지역에서 일어난 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 당시 40세의 나이로 원곡면 칠곡리에 살면서 농업에 종사하고 있었다.
4월 1일 저녁 8시경 원곡면사무소에 모인 1,000여명의 주민들과 함께 독립만세를 외친 뒤 성은고개(현 만세고개)를 넘어 양성으로 이동하였다. 이어 양성면 동항리에서 만세시위를 벌이고 해산하려던 양성면민 1,000여명과 연합하여 만세를 부르고, 일제식민통치기관인 양성경찰주재소와 면사무소를 투석ㆍ방화하였으며, 우편소의 전신주를 넘어뜨려 통신을 마비시켰다. 다음날 새벽 원곡면으로 돌아와 면사무소를 방화하여 전소시켰다.
이후 일제군경에 체포되어 안성경찰서에서 신문을 받고 서울로 압송되었다. 7월 2일 서대문감옥에서 조선총독부 예심판사의 신문 중에 당당하게 “조선의 독립을 바란다”고 진술하였다.
1921년 1월 22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징역 7년형을 받아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2009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으나 후손을 찾지 못해 미전수 독립유공자로 남아있다.
첨부파일
공공누리 제4유형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 및 변경 금지

공공누리 제4유형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 및 변경 금지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 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