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혁
- 1998년
- 안성시 승격 당시 가사리(加士里), 가현리(加峴里)를 안성1동으로 편입
- 1987년 1월
- 삼죽면 남풍리(南楓里), 동평리(東平里), 가현리(加峴理)를 보개면으로 편입 (편입후 가현리는 북가현리로 변경) 양복리 일부인 복거(福巨), 신기(新基), 동신곡(東新谷)을 금광면(金光面)으로 편입
- 서기 1914년 3월
- 조선총독부령에 의거 통폐합 당시 북좌(北佐), 거곡(巨谷), 가사(加士), 율동(栗洞), 기좌(其佐)등 5개면을 보개면(寶蓋面)으로 병합
- 조선시대
- 태종(太宗)13년 (1413)에 충청도로부터 경기도로 편입
- 신라시대
- 대보개면은 신라 경덕왕 때 원래 백성군(白城郡)의 일부분이었음
일반현황
면적(km2)
모바일 사용시 표를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019년 12월 31일 기준 보개면 총 면적과 농경지(계, 전, 답), 대지, 임야, 기타 면적을 상세히 설명하는 표입니다.
총 면적 | 농경지 | 대지 | 임야 | 기타 | 비고 |
계 | 전 | 답 |
53.004 |
9.481 |
1.609 |
7.872 |
0.224 |
28.009 |
15.2 |
2019. 12. 31. 기준 |
행정구역
2017년 12월 31일 기준 보개면 행정구역의 법정리, 행정리, 반을 상세히 설명하는 표입니다.
법정리 | 행정리 | 반 | 비고 |
19 |
36 |
85 |
2017. 12. 31. 기준 |
특산물
보개면 특산물의 내용을 설명하는 표입니다.
명칭 | 설명 |
금속공예 |
이경자씨의 입사장은 미적감각이 뛰어난 금속공예로서, 금속에 금, 은, 동을 합금하는 기법으로 아름다움을 표현한 공예품이다. 여인들의 장신구나 보석함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제품이다. |
양협토기 |
살아 숨쉬는 양협토기는 경기도 으뜸이로 선정되어 있는 안성맞춤전통 항아리이다. 5대째 100여년의 전통과 기술력 장인정신으로 환경호르몬과 중금속 해독작용이 탁월한 제품으로 천연유약과 맥반석을 사용하여 1,200℃ 고온에서 생산되고 있다. |
행정구역
보개면 행정구역의 번호, 법정(동)리, 한자, 영문을 상세히 안내하는 표입니다.
번호 | 법정(동)리 | 한자 | 영문 |
1 |
북좌리 |
北佐里 |
Bukjwa-ri |
2 |
오두리 |
烏頭里 |
Odu-ri |
3 |
신안리 |
新安里 |
Sinan-ri |
4 |
복평리 |
洑坪里 |
Bopyeong-ri |
5 |
구사리 |
九士里 |
Gusa-ri |
6 |
내방리 |
內紡里 |
Naebang-ri |
7 |
동신리 |
東新里 |
Dongsin-ri |
8 |
양복리 |
陽福里 |
Yangbok-ri |
9 |
상삼리 |
上三里 |
Sangsam-ri |
10 |
기좌리 |
其佐里 |
Gijwa-ri |
11 |
불현리 |
佛峴里 |
Bulhyeon-ri |
12 |
곡천리 |
曲川里 |
Gokcheon-ri |
13 |
이전리 |
泥田里 |
Ijeon-ri |
14 |
가율리 |
加栗里 |
Gayul-ri |
15 |
적가리 |
迪加里 |
Jeokga-ri |
16 |
신장리 |
新長里 |
Sinjang-ri |
17 |
남풍리 |
南楓里 |
Nampung-ri |
18 |
동평리 |
東平里 |
Dongpyeong-ri |
19 |
북가현리 |
北加峴里 |
Bukgahyeon-ri |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