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혁
- 서기 1963년
- 행정구역 개편으로 용인군에서 안성군으로 편입되었음
- 서기 1915년
- 동리 폐합시 19개리중 3개리는 안성군 양성면에 편입되었고 나머지 16개리를 폐합하여 7개리로 되었음
- 서기 1914년
- 군·면 폐합당시 용인군으로 폐합하고 고동, 고서, 고북 3개면을 통합하여 고삼면으로 개칭하였음
- 조선시대
- 양지군의 관할로써 고동, 고서, 고북 3면이었음
일반현황
면적(km2)
모바일 사용시 표를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019년 12월 31일 기준 고삼면 총 면적과 농경지(계, 전, 답), 대지, 임야, 기타 면적을 상세히 설명하는 표입니다.
총 면적 | 농경지 | 대지 | 임야 | 기타 | 비고 |
계 | 전 | 답 |
27.80 |
5.10 |
1.50 |
3.60 |
0.60 |
12.0 |
7.0 |
2019. 12. 31. 기준 |
행정구역
2019년 12월 31일 기준 고삼면 행정구역의 법정리, 행정리, 반을 상세히 설명하는 표입니다.
법정리 | 행정리 | 반 | 비고 |
7 |
21 |
31 |
2017. 12. 31. 기준 |
행정구역
고삼면 행정구역의 번호, 법정(동)리, 한자, 영문을 상세히 안내하는 표입니다.
번호 | 법정(동)리 | 한자 | 영문 |
1 |
월향리 |
月香里 |
Wolhyang-ri |
2 |
쌍지리 |
雙芝里 |
Ssangji-ri |
3 |
삼은리 |
三隱里 |
Sameun-ri |
4 |
봉산리 |
鳳山里 |
Bongsan-ri |
5 |
대갈리 |
大葛里 |
Daegal-ri |
6 |
신창리 |
新倉里 |
Sinchang-ri |
7 |
가유리 |
佳柳里 |
Gayu-ri |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