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혁
- 서기 1914년 3월
- 원래 양성군을 왜정 총독부령으로 군 폐합을 실시 할때에 읍내면, 송오리면, 지동면, 덕산면 일부 용인군 고삼면 일부를 병합하여 양성면으로 개칭하였음
- 조선 태종 13년
- 현감을 두었고 충청도로부터 경기도로 이관 하였음
- 고려 영종조
- 감무를 두었음
- 고려 초
- 수조(현 수원)에 이속 되었음
- 신라 경덕왕조
- 적성이라 개칭하여 백성의 현령이 되었음
- 고구려시대
- 사복홀이라 칭하였음
일반현황
면적(km2)
모바일 사용시 표를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019년 12월 31일 기준 양성면 총 면적과 농경지(계, 전, 답), 대지, 임야, 기타 면적을 상세히 설명하는 표입니다.
총 면적 | 농경지 | 대지 | 임야 | 기타 | 비고 |
계 | 전 | 답 |
53.14 |
13.64 |
3.84 |
9.80 |
1.50 |
28.73 |
9.27 |
2019. 12. 31. 기준 |
행정구역
2017년 12월 31일 기준 양성면 행정구역의 법정리, 행정리, 반을 상세히 설명하는 표입니다.
법정리 | 행정리 | 반 | 비고 |
18 |
35 |
70 |
2017. 12. 31. 기준 |
행정구역
양성면 행정구역의 번호, 법정(동)리, 한자, 영문을 상세히 안내하는 표입니다.
번호 | 법정(동)리 | 한자 | 영문 |
1 |
동항리 |
東恒里 |
Donghang-ri |
2 |
구장리 |
舊場里 |
Gujang-ri |
3 |
석화리 |
石花里 |
Seokhwa-ri |
4 |
추곡리 |
楸谷里 |
Chugok-ri |
5 |
조일리 |
照日里 |
Joil-ri |
6 |
도곡리 |
桃谷里 |
Dogok-ri |
7 |
산정리 |
山井里 |
Sanjeong-ri |
8 |
이현리 |
梨峴里 |
Ihyeon-ri |
9 |
장서리 |
長西里 |
Jangseo-ri |
10 |
난실리 |
蘭室里 |
Nansil-ri |
11 |
노곡리 |
老谷里 |
Nogok-ri |
12 |
미산리 |
美山里 |
Misan-ri |
13 |
방축리 |
防築里 |
Bangchuk-ri |
14 |
필산리 |
筆山里 |
Pilsan-ri |
15 |
덕봉리 |
德蜂里 |
Deokbong-ri |
16 |
명목리 |
名木里 |
Myeongmok-ri |
17 |
삼암리 |
三岩里 |
Samam-ri |
18 |
방신리 |
芳新里 |
Bangsin-ri |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