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 모니터링의 개요
공공수역으로 배출되는 오염 물질의 유출 특성은 다양하며 하천·호소의 수질 관리를 위해서는 현재의 수질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여야만 미래 예측 및 오염원 관리가 가능하다. 이러한 수질 조사자료를 기초로 하여 우리시의 하천·호소의 효율적인 수질 관리와 복원에 대한 방향을 탐색하고, 더욱 친수적인 수질 관리 정책의 실현을 위해서, 안성시청 환경과에서는 관내 하천 28개 지점과 호소 4개 지점에 대하여 수질 15개 항목 및 유량, 유속 측정 등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행정자료로서의 신뢰성 확보 및 자유로운 공유를 위한 주민 참여형 수질 관리 체계를 정립하고자 관내 시민단체와 함께 하천·호소를 순회하며 모니터링 과정을 직접 체험하게 된다.
관련 법규
- 물환경보전법 제9조(수질의 상시측정 등)
- 환경부 고시 제2021-1호 (물환경 측정망 설치·운영 계획, 2021. 1. 5)
측정지점 선정 기본 개념
- 하천 및 호소 등 수계수질관리 필요 지점
- 상수원수 및 농업 용수 취수 지점
- 배출 업소 관리를 위한 공단배수 및 도시 관류 지점
측정지점 선정 기준
- 수질 개선을 위하여 수질 상태를 파악할 필요가 있는 지점
- 양호한 수질 상태 유지를 위하여 보전하여야 할 지점
- 수질 변화 상태 및 오염 추세를 파악하기 위한 지점
- 수체(Water body)에 유입되는 오염 물질 및 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지점
- 담수와 해수의 혼합 지점에서 담수에 의한 오염 부하량을 파악할 수 있는 지점
현황
- 하천·호소 수질 모니터링(안성시) 측정 지점
- 하천 28개소, 호소 4개소
모바일 사용시 표를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지점번호 | 하천및호수 | 실제측정지점 | 조사횟수 |
---|---|---|---|
R1 | 청미천1 | 방초전 합류지점 청미천 상류(아송교 밑) | 월 1회 |
R2 | 청미천2 | 죽산천 합류지점 하류 | 월 1회 |
R3 | 청미천3 | 청미천 청미교 아래 | 월 1회 |
R4 | 청미천4 | 청미천 행죽보 상류 지점 | 월 1회 |
R5 | 산하천 | 원곡면 산하리 산하2교 밑 | 월 1회 |
R6 | 성은천 | 원곡면 성은리 성주교,산직교 사이 | 월 1회 |
R7 | 신흥천 | 일죽면 당촌리 청미천 합류부 천 | 월 1회 |
R8 | 쌍지천 | 고삼면 쌍지리 쌍지교 밑 | 월 1회 |
R9 | 안성천1 | 보개면 내방리 거리실교 밑 | 월 1회 |
R10 | 안성천2 | 미양면 후평리 안성천교 밑 | 월 1회 |
R11 | 안성천3 | 공도읍 중복리 | 월 1회 |
R12 | 장계천 | 죽산면 죽현리 죽산천 합류 전 | 월 1회 |
R13 | 죽산천1 | 죽산면 두현리 죽산천 상류부(죽산교) | 월 1회 |
R14 | 죽산천2 | 일궂면 매산리 죽산천 하류부 청미천 합류전(다라물농원) | 월 1회 |
R15 | 진위천 | 양성면 난실리 재인교 밑 | 월 1회 |
R16 | 청룡천1 | 미양면 고지리 고지1길 1로 | 월 1회 |
R17 | 청룡천2 | 미양면 진촌리 진촌교 밑 | 월 1회 |
R18 | 칠장천 | 죽산면 두교리 두계교 밑 | 월 1회 |
R19 | 방초전 | 일죽면 방초리 방초교 밑(청미천 합류 전) | 월 1회 |
R20 | 한천1 | 고삼면 대갈리 고삼교 밑 | 월 1회 |
R21 | 한천2 | 공도읍 신두리 한천교 밑 | 월 1회 |
R22 | 승두천 | 공도읍 승두리 671 | 월 1회 |
R23 | 신릉천 | 미양면 마산리 고지1교 하류 | 월 1회 |
R24 | 건지천 | 대덕면 건지리 511-3번지 | 월 1회 |
R25 | 금석천1 | 당왕동, 비룡교 밑 | 월 1회 |
R26 | 금석천2 | 당오아도 하나로마트 앞 금석대교 밑 | 월 1회 |
R27 | 금석천3 | 석정동 읍내교 밑 | 월 1회 |
R27 | 금석천3 | 석정동 읍내교 밑 | 월 1회 |
R28 | 금석천4 | 옥산동 금석교 밑 | 월 1회 |
R29 | 고삼저수지 | 고삼면 삼은리 고삼지 | 월 1회 |
R30 | 노곡저수지 | 양성면 노곡리 녹고지 | 월 1회 |
R31 | 독정저수지 | 원곡면 칠곡리 독정지 | 월 1회 |
R32 | 성은저수지 | 원곡면 성은리 성은지 | 월 1회 |
하천 생활환경 기준
모바일 사용시 표를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등급 | 상태 (캐릭터) | 기 준 | |||||||||
---|---|---|---|---|---|---|---|---|---|---|---|
수소 이온 농도 (pH) | 생물 화학적 산소 요구량 (BOD) (㎎/L) | 화학적산소 요구량 (COD) (㎎/L) | 총유기탄소량 (TOC) (㎎/L) | 부유 물질량 (SS) (㎎/L) | 용존 산소량 (DO) (㎎/L) | 총인 (T-P) (㎎/L) | 대장균군 (군수/100mL) | ||||
총 대장균군 | 분원성 대장균군 | ||||||||||
매우 좋음 | Ia | ![]() |
6.5∼8.5 | 1 이하 | 2 이하 | 2 이하 | 25 이하 | 7.5 이상 | 0.02 이하 |
50 이하 | 10 이하 |
좋음 | Ib | ![]() |
6.5∼8.5 | 2 이하 | 4 이하 | 3 이하 | 25 이하 | 5.0 이상 | 0.04 이하 |
500 이하 | 100 이하 |
약간 좋음 | II | ![]() |
6.5∼8.5 | 3 이하 | 5 이하 | 4 이하 | 25 이하 | 5.0 이상 | 0.1 이하 |
1,000 이하 |
200 이하 |
보통 | III | ![]() |
6.5∼8.5 | 5 이하 | 7 이하 | 5 이하 | 25 이하 | 5.0 이상 | 0.2 이하 |
5,000 이하 |
1,000 이하 |
약간 나쁨 | IV | ![]() |
6.0∼8.5 | 8 이하 | 9 이하 | 6 이하 | 100이하 | 2.0 이상 | 0.3 이하 |
||
나쁨 | V | ![]() |
6.0∼8.5 | 10 이하 | 11 이하 | 8 이하 | 쓰레기 등이 떠 있지 않을 것 |
2.0 이상 | 0.5 이하 |
||
매우 나쁨 | VI | ![]() |
10 초과 | 11 초과 | 8 초과 | 2.0 미만 | 0.5 초과 |
호소 생활환경 기준
모바일 사용시 표를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등급 | 상태 (캐릭터) | 기 준 | ||||||||||
---|---|---|---|---|---|---|---|---|---|---|---|---|
수소이온 농도 (pH) | 화학적 산소 요구량 (COD) (㎎/L) | 총유기탄소량 (TOC) (㎎/L) | 부유 물질량 (SS) (㎎/L) | 용존 산소량 (DO) (㎎/L) | 총인 (T-P) (㎎/L) | 총질소 (T-N) (㎎/L) | 클로로필-a (Chl-a) (㎎/㎥) | 대장균군 (군수/100mL) | ||||
총 대장균군 | 분원성 대장균군 | |||||||||||
매우 좋음 | Ia | ![]() |
6.5~8.5 | 2 이하 | 2 이하 | 1 이하 | 7.5 이상 |
0.01 이하 |
0.2 이하 |
5 이하 | 50 이하 | 10 이하 |
좋음 | Ib | ![]() |
6.5~8.5 | 3 이하 | 3 이하 | 5 이하 | 5.0 이상 |
0.02 이하 |
0.3 이하 |
9 이하 | 500 이하 | 100 이하 |
약간 좋음 | II | ![]() |
6.5~8.5 | 4 이하 | 4 이하 | 5 이하 | 5.0 이상 |
0.03 이하 |
0.4 이하 |
14 이하 | 1,000 이하 |
200 이하 |
보통 | III | ![]() |
6.5~8.5 | 5 이하 | 5 이하 | 15 이하 | 5.0 이상 |
0.05 이하 |
0.6 이하 |
20 이하 | 5,000 이하 |
1,000 이하 |
약간 나쁨 | IV | ![]() |
6.0~8.5 | 8 이하 | 6 이하 | 15 이하 | 2.0 이상 |
0.10 이하 |
1.0 이하 |
35 이하 | - | - |
나쁨 | V | ![]() |
6.0~8.5 | 10 이하 | 8 이하 | 쓰레기 등이 떠 있지 않을 것 |
2.0 이상 |
0.15 이하 |
1.5 이하 |
70 이하 | - | - |
매우 나쁨 | VI | ![]() |
- | 10 초과 | 8 초과 | - | 2.0 미만 |
0.15 초과 |
1.5 초과 |
70 초과 |